SK하이닉스 70% 점유율 쇼크 ★ 삼성전자 저평가 이유는?

SK하이닉스 랠리, 삼성전자 저평가
SK하이닉스 랠리, 삼성전자 저평가

2025년 HBM 메모리 전쟁: SK하이닉스의 랠리와 삼성전자의 저평가 이슈 분석

1) AI 혁명 속 '슈퍼 사이클' 주도하는 SK하이닉스

2025년 6월 현재, 한국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전례 없는 주가 흐름과 기업 가치 재평가가 진행 중입니다. 그 중심에는 SK하이닉스의 기록적인 주가 상승과 삼성전자의 구조적 저평가가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70%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며, AI 시대의 핵심 수혜주로 급부상했습니다. HBM은 인공지능(AI) 연산에 최적화된 고부가가치 메모리로,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AI 칩 기업들이 요구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2025년 6월 기준, SK하이닉스는 주가 260,000원을 돌파하며 장중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고, 10거래일 동안 무려 21.76% 상승하는 폭발적인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6월 한 달 동안에만 1조 3,698억 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시장 신뢰를 보여주었습니다.이는 단순한 투기 흐름이 아닌, AI 기반 HBM 기술에 대한 장기적 기대감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2) 삼성전자,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저평가 논란

반면, 삼성전자는 여전히 저평가 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고전의 이유는 다양합니다.

  • HBM3E의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 통과 지연
  • TSMC와의 파운드리 격차 확대
  • IDM(종합반도체) 구조로 인한 '고객-경쟁사' 딜레마 

2025년 1분기 기준 삼성전자의 주가수익배수(PER)는 10.27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1배로 역대 최저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는 동종업계 최고 수준의 TSMC(PBR 8.58배)와 극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특히, HBM 기술력 확보에 있어 SK하이닉스와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은 시장 신뢰 하락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는 단기적인 주가 하락을 넘어 기업 가치 평가의 구조적 전환을 시사합니다.

 

SK하이닉스 랠리, 삼성전자 저평가
SK하이닉스 랠리, 삼성전자 저평가

 

3) SK하이닉스: HBM 중심의 실적과 전략 분석 

① 주가 흐름과 외국인 순매수

  • 2025년 3월: 16.79% 상승 (52주 신고가 돌파)
  • 2025년 6월: 21.76% 상승 (장중 최고가 경신)
  • 외국인 순매수: 누적 1조 7,599억 원

② HBM 시장 점유율

  • 2023년: SK하이닉스 52.5%, 삼성전자 42.4%
  • 2025년 1분기: SK하이닉스 70%로 도약

③ 기술 리더십

  • HBM4 12단 개발 및 양산 준비 완료
  • TSMC와 로직 베이스 다이(LBD) 협력으로 전력 효율성 향상

④ 실적

  • 2024년 연간 매출: 66.1조 원 (전년 대비 102% 증가)
  • 2024년 영업이익: 23.4조 원 (흑자 전환)
  •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2.9조 원

 

4) 삼성전자: 과제와 반등 전략

① HBM 공급 지연

  • 엔비디아와의 품질 인증 지연
  • HBM4 시장에서 '후발주자' 인식

② 파운드리 부문 문제

  • 3나노 수율 문제
  • 주요 고객사(애플, 엔비디아, 구글) 대부분 TSMC로 이탈
  • 시장 점유율: 삼성 7.7%, TSMC 67.6%

③ '고객-경쟁사' 딜레마

  • IDM 구조로 인해 파운드리 고객의 신뢰 저하 
  • 분사 요구도 무시됨

④ 실적 및 전략

  • 2024년 영업이익: 32.7조 원 (기대치 하회) 
  • 2025년 1분기 매출: 79.1조 원 (역대 최대) 
  • HBM3E 및 고용량 DDR5 출시 계획
  • 2나노 공정 안정화 및 R&D 확대

 

5) SK하이닉스 vs. 삼성전자: 핵심 비교 테이블

항목 SK하이닉스 삼성전자
HBM 시장 점유율 (2025.1Q) 70% 미공개 (추정 25~30%)
외국인 순매수 (2025.6월) 1.37조 원 순매도 우세
PER (2025.6월) N/A 10.27배
PBR (2025.6월) 1.38배 0.91배
기술 제휴 TSMC (HBM4 LBD) 자체 개발 중심
전략 투자 M15X 공장, 용인 클러스터 기존 라인 활용 중심

 

6) 시장이 보는 미래: 투자 포인트

  • SK하이닉스는 AI 붐에 가장 직결되는 메모리 기업으로, HBM의 고부가가치, 기술 장벽, 고객 락인 효과 등으로 시장 신뢰 극대화 
  • 삼성전자는 R&D 확대와 고성능 메모리 집중 전략을 펼치고 있으나, 시장의 회의적 시선은 여전히 존재
  • 시장이 평가는 이제 범용성이 아닌 특화 기술의 선점 여부에 따라 급변하는 중

 

7) 반도체 산업의 본질적 변화

SK하이닉스는 AI 시대에 요구되는 전문화된 메모리 기술(HBM)에 가장 빠르게 적응한 기업으로, 기술 리더십과 전략적 실행에서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반면 삼성전자는 여전히 기술력과 자본력이라는 전통적 강점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AI 기반 반도체 시장에서의 선제적 대응 부족으로 인해 구조적인 저평가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결국, 반도체 산업의 핵심은 규모나 범용성보다 첨단 기술과 시장 적시 대응 능력이며, 이 부분에서 SK하이닉스는 지금 이 순간 가장 주목받는 기업입니다. 삼성전자의 반등 여부는 향후 HBM 공급 성과와 파운드리 경쟁력 회복에 달려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기업 가치의 방향이 크게 달라질 것입니다.

728x90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