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초생활급여 개편과 긴급복지 제도 ★ 무엇이 달라졌을까?

 

 

2025년 기초생활보장 및 긴급복지지원 제도 심층 분석

1. 최신 변화 요약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6.42% 인상되며 복지 제도 전반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주요 개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계급여 기준 인상: 4인 가구 기준 1,951,287원
  •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2,000cc 미만, 10년 이상 또는 500만 원 이하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연 소득 1.3억 원, 재산 12억 원 이상 시만 제외
  •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65세 이상 적용, 월 20만원 + 30%
  • 의료급여 본인부담 개편: 정액제 → 정률제, 건강생활유지비 2배 인상
  • 자활성공지원금 신설: 탈수급자 연 최대 150만원

2025년 기초생활급여 개편과 긴급복지 제도

2. 기초생활보장제도

2-1. 제도의 목적 및 원칙

  • 최저생활보장의 원칙
  • 보충급여의 원칙
  • 자립지원의 원칙
  • 개별성의 원칙
  • 타급여 우선의 원칙
  • 보편성의 원칙

2-2. 수급자 선정 기준 (2025년)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생계급여 기준(32%)
1인 2,392,013원 765,444원
4인 6,097,773원 1,951,287원
6인 8,064,805원 2,580,738원

2-3. 급여 종류

  • 생계급여: 생활비 부족분 지급
  • 의료급여: 진료비·입원비 지원, 본인부담 차등
  • 주거급여: 임차료 및 수선비 지원
  • 교육급여: 학비, 학용품비 지원
  • 해산/장제급여: 출산 시 70만원, 사망 시 80만원
  • 자활급여: 창업, 직업훈련, 자산형성 지원 등

2025년 기초생활급여 개편과 긴급복지 제도

3. 긴급복지지원제도

3-1. 제도 개요

위기 상황 발생 시 선지원 후심사 방식으로 지원되는 제도입니다.

3-2. 위기사유 범위

  • 실직, 휴업, 폐업
  • 중한 질병, 부상
  • 방임, 유기, 학대, 가정폭력
  • 전세사기, 교정시설 출소, 사회적 재난 등

3-3. 소득 및 재산 기준 (2025년)

  • 소득: 중위소득 75% 이하 (4인 기준 4,573,330원)
  • 재산: 대도시 기준 2억 4,100만 원 이하
  • 금융재산: 1,210만 원 이하 (주거지원 시 1,410만 원)

3-4. 지원 내용

항목 지원 금액 지원 횟수
생계지원 1,873천 원/월 (4인가구) 최대 6회
의료지원 300만 원 이내 2회
주거지원 663천 원/월 최대 12회
해산비 70만 원 1회
장제비 80만 원 1회

4. 제도 간 비교

항목 기초생활보장제도 긴급복지지원제도
목적 장기적 빈곤 해소 단기 위기 대응
방식 맞춤형 정기 급여 단기 일시 지원
심사 사전조사 중심 선지원 후심사
연계 자활, 근로 중심 장기 복지제도 연계

5. 결론

2025년 복지제도는 급여 확대를 넘어 자립 유도 및 조기 위기 완화를 강화하며,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728x90

Designed by JB FACTORY